[뉴스 - 전국]
농진청, 농기계 교통안전 수칙 발표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농기계 교통사고는 농업의 특성상 수확철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10∼11월 2개월 동안 전체 농기계 교통사고의 32 %가 집중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이 커 100건 당 사망자수가 7명으로 자동차 교통사고에 비해 2.9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농기계 교통사고의 90 % 이상이 졸음운전, 방심, 딴생각 등과 같은 인적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수확철 농기계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안전장치, 등화장치(저속차량표시등 등)를 정비하고, 도로주행 시에는 서두르지 말고 반드시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또 도로주행 시에는 전복이나 충돌 등의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운기 조향클러치와 트랙터 독립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특히 인명피해 발생 가능성이 커 100건 당 사망자수가 7명으로 자동차 교통사고에 비해 2.9배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농기계 교통사고의 90 % 이상이 졸음운전, 방심, 딴생각 등과 같은 인적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수확철 농기계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안전장치, 등화장치(저속차량표시등 등)를 정비하고, 도로주행 시에는 서두르지 말고 반드시 교통법규를 준수한다. 또 도로주행 시에는 전복이나 충돌 등의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운기 조향클러치와 트랙터 독립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출처 : 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