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서울]
서울시 일부 홍보매체 시민에 개방
아이템은 좋으나 홍보할 길이 막막한 영세소상공인, 비영리민간단체, 전통시장, 청년창업기업, 사회적기업이 가로판매대, 지하철, 버스 등 서울시 홍보매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
서울시는 7월 1일부터 한 달간 영세소상공인, 비영리민간단체 등 시민을 대상으로 시 홍보매체에 광고할 ‘서울시민 희망홍보 소재’를 공개모집한다고 밝혔다.
주요 공개모집 분야는 영세소상공인, 비영리민간단체, 사회적기업, 청년창업기업, 전통시장 등으로 시민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
공모내용은 서울시민에게 희망을 주거나 나눔을 실천할 수 있는 소재로 ▴성공적 창업스토리 ▴기부, 나눔, 자원봉사 ▴여성,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의 권익신장 등이다. 응모와 절차 등 자세한 내용은 와우서울(wow.seoul.go.kr) 홈페이지 공모전 코너에서 확인하면 된다.
서울시는 이들 분야를 대상으로 홍보소재를 접수받아 각계각층으로 구성된 ‘시민공익광고 심의위원회’ 심사를 거쳐, 약 40편을 선정해 홍보콘텐츠 이미지 및 홍보물 제작 등 일체 비용을 들여 가로판매대, 지하철, 버스 등 시가 보유한 매체를 통해 광고형태로 홍보를 지원한다.
오는 9월부터 홍보에 들어갈 예정인 시민 공모 희망광고는 짧게는 1개월, 길게는 3개월간 시의 각종 매체에 부착되며, 홍보기간과 매체배정은 채택된 홍보소재 성격에 따라 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한다.
시의 이번 각종 홍보매체 시민개방은 지난 3월부터 사회적기업, 청년창업기업, 전통시장 등 홍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시범운영한 결과, 호응이 높다는 판단에 따라 관련 법령 등에 근거해 영세소상공인, 비영리민간단체 등을 추가 확대한 것이다.
특히 이번 개방에는 서울시와는 별도로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메트로도 양 공사가 보유한 매체의 약 38%(총17,576면)를 할애, 시민개방에 동참했다.
그동안 시 보유의 홍보매체엔 시정광고 일색이었으나 올해 말까지 총44,9%(총12종 44,237면 중 19,857면)를 시민에 개방함으로써 시정광고 대신 시민광고로 채워지게 된다.
우리 것을 지키고 알리는 팜뉴스